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밴쿠버 제라늄, 내게 희망을 줍니다. 대구에서 살 때 초록이를 키우기 시작하다 2년 만에 지난 가을에 경기 북부로 이사했는데 유난히 추운 이번 겨울에 집에 있는 아이들 대부분을 보냈습니다. 작년 늦봄에 찍은 기특한 밴쿠버 제라늄이예요. 작은 비닐 화분에 있던 아이가 2년 동안 이 만큼 컸어요. 하지만, 올 겨울 추위에 죽었다는 생각이 들어 화분에서 뽑으려고 잡아당겼는데, 뿌드득, 뿌리가 뜯어지는 소리가 들려 아차 했습니다. 설마하는 생각으로 밑둥 부분 쪽을 꺽어 보았더니 앙상하지만 물기를 머금고 있었습니다. 제라늄 밑둥밖에 안 남았지만, 뿌리 힘을 믿어 보기로 했습니다. 그리고 발코니에 봄이 오자 뿌리에서부터 새 잎이 나오고 있습니다. 제법 굵은 목대엔 나와 같이한 시간들이 차곡차곡... 그래서 다시 싹을 틔울 수 있었나 봅니다, 저와 다시.. 2010. 4. 18.
봄 꽃이 예쁜 식물, 매발톱꽃 꽃이 예쁜, 매발톱꽃 매발톱은 여러해살이 식물인데요, 우리집 매발톱은 지금 3살입니다. 이렇게 화려하고 단아한 꽃이 핍니다. 꽃 크기가 큰 편이라 감상용으로도 좋습니다. 우리나라는 푸른색 꽃이 피는 하늘매발톱꽃과, 노랑매발톱꽃이 자생한다고 해요. 하늘매발톱꽃 보러 가기 노랑매발톱꽃 보러 가기 서양매발톱꽃 보러 가기 색도 그렇고, 뿔같이 뒤로 길게 뻗은 모양(꿀 주머니)이 긴 것을 보니 우리 아이는 수입종인가 봅니다. 꽃 줄기가 길게 올라오면 더 예쁘던데(50~150cm) 우리집 애는 키가 작아요. 왜 안 자랄까요. 저 빨간색 꽃잎이 사실은 꽃받침이 아닐까 합니다... 2010. 4. 17.
빈 둥지 증후군, 로미오와 줄리엣 효과? 한 번쯤 들어 본 듯한 심리 용어 정리 서울사이버대학 게시판에 pure***@naver.com 님이 올려 준 것을 살짝 정리해 보았습니다. 중복된 것이 몇 개 있지만... 그냥 둡니다. -_-;; 저에게는 순행성 기억상실, 설단현상, 신데렐라 콤플렉스, 사회적 억제 현상, 피그말리온 효과, 피터팬 증후군, 학습 딜레마, 자기이행적예언, 행위자-관찰자 편향... 허구적 일치성 효과가 조금 있군요. 또 알게 된 건 신데렐라 콤플렉스가 남자의 경제력에 의존하려는 여자 심리인 줄 알았는데, 신데렐라 콤플렉스 때문에 남자 경제력에 의존하게 되는 거였네요. 1. 가르시아 효과(Garcia Effect) 먹는 행동과 그로 인해 나타나는 결과 사이에는 시간적으로 어느 정도 차이가 있지만, 그들 사이에는 일정한 인과관계가 존재한다. 다시 말해 닭고기를 먹고 .. 2010. 4. 17.
4대강 개발과 기상 이변, 그리고 채소값 폭등 4대강 사업에 궂은 날씨탓?..채소값 폭등 가락농협 관계자는 "낙동강변을 따라 가보면 하우스시설이 모두 철거된 풍경이 한눈에 들어온다"며 "낙동강 하천부지에서 생산돼 들어오는 채소 물량이 지난해에 비해 눈에 띄게 줄었다"고 말했다. 부산농협공판장 관계자는 "채소 출하주가 지난해 절반 수준으로 떨어진지 이미 오래"라며 "올해는 비가 많이 오고 일조량이 적은 탓도 있지만 가격폭등의 주원인은 4대강 사업이라고 봐야 한다"고 말했다. 부산시농업기술센터 관계자는 "4대강 사업으로 경기도 팔당지역의 유기농 지역도 없어질 위기에 처했다"며 "노지 채소가 나와봐야 알겠지만 하천부지에서 잘 자라는 엽채류는 적절한 대체농지가 없어 가격 급등세가 당분간 이어질 예상된다"고 말했다. 기사 원문 보기 야채 한 접시에 쇠고기 무.. 2010. 4. 15.
반응형